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하양 색채가 주는 순수함과 성스러움 그리고 완전성
    > 심리의 모든 것 2022. 2. 15. 21:07

    순수함과 성스러움

     

     

     

    하양 색채가 주는 순수함과 성스러움 그리고 완전성

     

     

     

    1. 하양의 상징

    흰색은 빛, 하늘, 숭고함, 희망, 성스러움, 그리고 순수함을 나타낸다. 기독교 지역에서 흰색은 순결, 결백, 순수를 나타내며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순결과 기쁨을 나타낸다.

    → 빛과 밝음을 상징하며 신의 존재를 의미한다.

     

    흰색은 명쾌하고 경쾌함을 느끼게 하는 반면 냉혹함 등 정서적으로 차가움을 지니고 있고, 또한 불안, 정신착란의 심리적 작용을 하기 때문에 다른 색과 조화가 필연적이다. 다행히 흰색은 오방색 계통의 파란색, 황색 흑색, 자색 등과 조화가 잘 되는 색채로 이들과의 배색으로 부작용적인 면을 상쇄할 수 있다.

     

    흰색은 빛과 밝음을 상징하며 하늘, 숭고함, 희망, 성스러움, 순수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빛으로 상징되는 흰색은 깨달음, 부활, 완전성을 나타낸다. 반면에 비어 있거나 공허의 느낌을 주기도 하는데 모든 것을 희생하면서 어떠한 힘도 요구하지 않을 준비가 되어 있는 색채로 느껴져 포기를 의미한다.

     

    ⑴ 연상

    고결하거나 순결, 순수, 신성, 깨끗함의 이미지를 준다. 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는 빛과 소금 역시 흰색이다. 하양은 인간의 주식인 쌀이나, , 아이가 태어난 순간 주식이 되는 우유를 연상케 한다.

     

     

     

    아무것도 없는 비워진 색이자 모든 것이 채워진 완성의 색이다.

    하양은 가능성으로 차 있는 침묵이다.”

     Wassily Kandinsky

     

     

     

    구체적 연상 : , 구름, , 밀가루, 비둘기, 웨딩드레스.

     

    하얀 눈길
    눈, 구름, 빛 등 구체적 연상

     

     

     

    추상적 연상 : 순수, 신성함, 성스러움, 항복, 공포의 존재.

     

    영적인 존재
    순수, 신성함, 공포의 존재 등 추상적인 연상

     

     

     

    ⑵ 자연의 하양

    : 높은 곳의 공기와 작은 얼음 결정이 섞인 것. 눈의 거의 모든 빛이 공기와 물 분자에 의해 반사되거나 흩어지므로 눈은 태양빛의 흰색으로 보인다.

     

    구름 : 공기와 섞인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으며 대부분의 빛이 산란되어 눈에는 하양으로 보인다.

     

    해변의 흰모래 : 석영과 침식된 석회석이 햇빛을 흡수하거나 흡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의미

    긍정적 : , 밝음, 신의 존재, 깨달음, 비추임, 부활, 완전성, , 순결, 청결, 완벽, 정화, 지혜, 포기, 엄격함, 깨끗함, 명료함, 신선함, 개방성, 솔직성, 순수함과 선함, 절대적 자유, 탈 억제, 긍정, 추상성, 보편성, 투명성, 개방과 자유의 잠재성을 의미.

     

    부정적 : 유령, 영적인, 추운, 텅 빈, 무관심, 무감각, 멍한 상태, 생명의 결핍, 감정의 결여, 차가움, 엄격함, 경직성, 공허, 절망, 외로움과 불행, 고행과 금욕, 죽음.

     

    종교적 의미

    흰색은 부활과 영생을 의미하기 때문에 육체적으로 사라지더라도 영혼은 새로운 시작을 한다는 의미로 흰색 상복을 입기도 한다. 환생에 대한 믿음이 널리 알려져 있는 아시아에 서는 전통으로 하얀 상복을 입는다.

     

    고대 올림픽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선수들이 입는 흰색 옷에는 어두운세계를 통과해 이상을 달성하는 의미가 숨어 있다. 흰옷을 입은 남녀 운동선수들은 경기장에서 화해와 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빛을 점화한다.

     

    2. 심리적 작용

    ⑴ 치료적 접근

    신경과민의 사람과 격한 성격의 사람은 투쟁심을 억제시켜 준다.

     

    개방과 자유의 잠재성이 있어 내적 정화의 작용을 하고, 머릿속이 복잡하거나 불안감이 있을 때 도움이 되고, 내성적이고 폐쇄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사용하면 좋다.

     

    하양은 냉혹함이나 정서적으로 차가운 성질을 지니고 있고, 불안 정신착란의 심리적 작용하기 때문에 다른 색채와 조화가 필요하다.

     

    ⑵ 언어적 접근

    머릿속이 하얗게 되다. 텅 빈 상태처럼 아무 생각이 안 나다.

    백기를 들다. 항복하다.

    백마 탄 왕자 여성들이 바라는 완벽한 남자를 지칭하는 문구.

    백주대낮 한참 밝은 대낮.

    백지수표 서명은 되어 있으나 금액이 적혀 있지 않은 수표.

    백악관(The White House) 미국 대통령이 거주하는 곳.

    하얀 거짓말 선의로 하는 거짓말.

    화이트칼라(White Collar) 사무직 노동자를 지칭.

     

    ⑶ 성향

    흰색을 좋아하는 사람

    정신적인 것을 포함하여 잃고 싶지 않다는 소망이 있거나, 완전함을 목표로 하여 이상을 추구한다.

     

    흰색을 너무 선호하는 것은 자신의 내적 동요가 숨겨져 있으며, 그러한 내면으로 자신을 숨기는 것이다. 종교적 집단에서 흰색을 선호하는 것은 순수함과 단순한 생활의 욕구와 그런 생활을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종교적 관련 없이 항상 흰색만 입는 경우는 미성숙함을 보여주거나,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아동의 경우

    하양을 다른 색과 섞어 입으면 생동감이 있고 평형을 유지하는 성향이 있고, 아동들은 대부분 하얀색을 사용하지 않는다.

     

    ★핵심

    기품 있고 이상적이고 노력하는 탑이며, 선망의 대상이 되고 싶어 한다. 사람들과 잘 어울리고 활기차다. 건강하고 보수적이고 완벽하기도 하다.

     

    도피하고픈 심리상태를 나타내며, 고집이 강한 경우 두려움과 무기력도 포함된다. 다른 색채 위에 흰색을 덮어 씌어 칠하면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말한다.

     

    새로운 일을 시도해 보거나 기분을 바꿔 보려는 상태이고, 지적인 면이 우선시 되는 색채.

     

    아직 밟지 않은 눈 내린 하얀 대지의 이미지로 아무것도 쓰지 않은 백지, 아직 손대지 않은 신선한 경험. 순결함과 순진함을 의미.

     

    3. 상징성

    ⑴ 역사

    고대 이집트에서 백색은 여신 ISIS사제들과 제사장들이 흰모시옷만 입고, 미라를 감싸는 데에도 역시 흰색 모시만을 사용하였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어둠과 빛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았고 흰색은 근본적인 색채라고 믿었다.

     

    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화가들은 그림에서 4가지색(, , , )만 사용하였다.

     

    15세기 : 어린 양과 갓난아이를 안고 흰옷을 입고 있는 여인. 성경 속 어린 양은 항상 순결한 번제(Burnt offering)의 동물이면서 순수함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하얀 털과 작은 아기 같은 크기가 성경 속 마리아와 어린 양과 같은 느낌을 준다. 하얀 털의 어린 양은 나약하며 구원과 보살핌이 필요한 존재로 상징된다.

     

    예수와 어린양
    성경 속 어린 양은 순결과 순수함을 상징함

     

     

     

    16세기 : 애도의 색채로 사용된 하양. 프랑스 왕들의 과부들은 흰색 옷을 착용하였다.

     

    하양 튜닉은 많은 기사들이 빨강 망토와 함께 차용하여, 기사들이 왕이나 교회를 위해 기꺼이 피를 흘리고 있음을 보여 준다.

     

    18세기 : 유럽 상류층들은 자신의 신분의 고결함을 표현하는 도구로 남성들은 흰색 가발과 흰 스타킹을 신었다. 그 당시에는 파스텔 톤이 유행을 하고 있었다.

     

    유럽 상류층 신분
    흰 가발과 스타킹은 유럽 상류층의 고결함을 상징

     

     

     

    20세기 : 1921년 티타늄 광석에서 추출한 안료 티타늄 화이트. 한국에는 1960년 수입. 완벽한 불투명함으로 우수한 도포력을 지니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일과 혼합에도 용이하여 화가들에게도 사랑을 받고 있다.

     

    ⑵ 국가

    대한민국 : 백의민족(白衣民族)

    우리 민족이 예로부터 흰옷 입기를 좋아하였다는 기록은 중국의 역사책 위지 동이전부여는 흰색을 숭상하여, 흰옷을 널리 입었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푸른 들에서 허리를 굽히고 일하는 사람들의 옷이 모두 희었다.”라는 내용이 존재. 조선 시대 역시 태조 때부터 흰옷 착복을 금하는 금지령이 있었다. 현종(1659~1674), 숙종(1674~1720) 때도 흰옷을 입는 것을 금하는 어명(御命)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잘 지켜지지 않았다. 당시 목화로 짠 하얀 무명이 많이 통용되고 있었고, 잿물로 표백하는 기술이 성행하고 있었기에 백성들은 무명 흰옷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태국

    티베트의 여신 : Tara(관세음보살과 더불어 티베트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보살). 달 모양의 부드러운 형상을 한 선() 한 여신이다. 평상시에는 녹색으로 많이 나타나며 흰색의 타라 여신은 모든 색을 자체에 포함하고 있다. 빛의 굴절 앞에서는 각각의 색으로 나타나며, 왼쪽 눈물이 화현(불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고 구제하려고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하여 세상에 나타남) 한 백색 타라 보살은 중생들의 수명을 관장하는 보살이다.

     

    4. 생활 속의 하양

    ⑴ 색채 마케팅

    캐릭터 : 북극곰(코카콜라), 수호랑(평창 올림픽)

    성공한 브랜드에는 강력한 캐릭터가 존재. 소비자가 캐릭터를 접하는 순간 상업적 목적을 지닌 기업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소비자와 소통하고 싶은 친근한 대상으로 동물들이 주로 사용된다. 특히 흰색은 성별, 국적, 정치성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소비자가 편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

     

    캐릭터 : 비벤덤(미쉐린 타이어)

    캐릭터계의 시조새로 불리는 비벤덤(Bibendum)’ 최근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열린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세기의 아이콘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