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색채는 사람이 갖고 있는 생각과 사회적 약속이다.> 심리의 모든 것 2022. 1. 10. 22:43
색채는 사람이 갖고 있는 생각과 사회적 약속이다.
시작하기에 앞서서...
색채는 미술, 디자인, 마케터, 심리상담사라는 직업에 있어서 떼려야 뗄 수 없는 매우 크게 자리 잡고 있다. 직업뿐만 아니라 사람이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사물 구분, 심리상태, 성격 의사소통 등에서도 절대로 빠질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색채심리, 색채 치료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개념부터 탄탄하게 공부를 한다면 색채에 대한 바라보는 눈이 더 넓어져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색과 색채의 개념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색과 색채 치료
1. 색
⑴ 색의 정의
-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올 때 눈에서 보내는 신호를 뇌가 해석한 것이다.
인간이 구별할 수 있는 색 : 1,700 만개(빨강, 파랑, 초록→빛만 감지 가능)
여성의 경우는 가까운 곳의 미묘한 것까지 색을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노랑과 초록의 비슷한 계열의 색도 다양성을 구분할 수 있으나, 남성의 경우는 멀리 떨어진 형상으로 구분하며, 노랑과 초록을 동일한 색으로 인식한다.
“색채는 사람이 갖고 있는 생각과 사회적 약속이다.”
⑵ 사전적 의미
색(色) : 사람 人(인) + 병부 卩(절) 사람의 얼굴 표정과 마음의 상태
Color : ‘cel(cover)’ dl ‘col(cover)’로 모음은 변했으나, cover라는 개념에서 ‘or(하는 것)’을 합쳐서 color는 ‘덮은 것’이라는 뜻이며, 옛말은 ‘colos’물체에 숨어 있는 그 무엇, “빛이 있기 전까지 숨겨져 있다가 빛이 나타남으로 드러내다.”라는 뜻이다.
★핵심
- 빛이 없으면 색을 구분하기 어려움.
- 빛이 없는 어둠 속에서 색은 존재하지 않는다.
⑶ 우리말 색이름 (2005. 12 개정)
흰색은 하양으로, 녹색은 초록으로 개정되었으며, 분홍과 갈색이 추가되었다. 개정안의 내용은 색이름과 색상 분류에 기본이 되는 기본색이름을 기존의 유채색 10색과 무채색 3색 등 13색에서 분홍과 갈색을 포함 15색으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기본색이름은 유채색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자주, 분홍, 갈색 그리고 무채색 하양, 회색, 검정으로 표현된다.
⑷ 기억색 (Memory Color)
대상의 표면색에 대한 무의식적 추론에 의해 결정되는 색이며, 기억색은 실제의 색상과 다르다.
⑸ 현상색 (Appearance color)
인간이 느끼는 주관적인 상상, 또는 지각에 앞서 빛의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시공간에 나타나는 현상 그대로의 색을 현상색이라 한다.
⑹ 색의 항상성(Color Constancy)
빛 자극의 물리적 특성이 변하더라도 물체의 색채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현상.
ex) 백열등과 태양 광선 아래에서 측정한 사과 빛의 스펙트럼이 각각 달라도, 빨간색이라는 사과의 정체성은 다르게
지각되지 않는 것.
⑺ 색채의 접근
➀ 합목적 방식 : 색채를 사용하는 방식과 목적이 사용자의 주관적인 분석.
(인문 사회학적 관점)
➁ 합법칙적 방식 : 색채 극의 분광 분포에 따라 분석 색채가 갖는 성질과 기능을 분석.
(과학적 관점)
2. 색채 치료
⑴ 개념
컬러의 치유적 효과를 이용하여 신체적, 정신적, 영적 불균형을 치료하는 방법. 인간의 신체 역시 입자와 파동의 에너지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에서 컬러가 지닌 에너지가 인체로 유입될 경우 어떤 현상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착안한 치료법이다.
★핵심
- 색 :사물을 판단하는 물리적 현상.
- 색채 : 지각된 색이 개인의 주관적 감정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경험의 효과.
⑵ 쾌감원칙
일본의 색채 심리학자 스에가나 타미오에 따르면 생명력의 기본은 ‘쾌감원칙’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쾌감을 추구하며 눈도 그 원칙을 따른다. 어떤 색이 시상하부에 전해지면 쾌감의 전달통로인 A10 신경을 통과해 뇌의 편도핵에 도달해 ‘좋다’ 혹은 ‘나쁘다’라는 판단으로 이어진다. 의학보다 먼저 이 과정에 주목한 것은 광고 마케팅의 영역인데, 컬러테라피는 그것을 사람의 마음속을 들여다보고 얽힌 상태를 푸는 수단으로 삼는다.
⑶ 과정
시각을 통하여 들어온 빛은 신경전달 통로를 거쳐서 송과선(松科腺, Pineal gland)에 도달.
송과선(송과체)의 역할 : 일상의 리듬을 조절하는 기능
→ 뇌에서 받아들이는 오감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중 83% 이상이 시각.
→ 컬러만 보더라도 90초 안에 잠재의식적 판단을 내림.
송과선(송과체) ⑷ 색경험 피라미드
프랭크 만케(Frank H. Manke)는 색 경험의 과정이 6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이루어진 색채 해석이 사회적인 소통의 도구로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① 생물학적 반응 : 피라미드의 가장 아랫부분으로, 이 단계의 색 경험은 생물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색자극을
사용하는 것. 종의 생존과 유지, 번식에 필수적인 신호로서 색을 인식하고 사용하는 것을 뜻함.
② 집단무의식 : 색을 개인적으로 체험하는 것과는 구별되며, 조상들의 색채 환경에 대해 반응한 방식으로 색채에 반응하는 것. 심리학자 융(Jung)에 의한 개념. 사람의 무의식은 프로이트가 설명한 것처럼 의식적으로 억압되어 생기거나 단순하게 잊어버렸던 어린 시절 기억들이 출생 이후 개인의 경험에 따라 가지게 되는 것을 개인 무의식이라고 부르는데, 이에 반해서 선천적으로 존재하는 무의식도 있다는 것이다. 결국 집단무의식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존재하는 성격이라고 파악하면 된다.
③ 의식의 상징화 : 색채에 대한 어떤 연상을 가지는 것(1차적 연상 : 초록―자연, 2차적 연상 : 빨강―정열).
④ 문화적 영향과 매너리즘 : 종교, 신화, 의식, 문학 등 다양한 문화.
⑤ 시대사조, 패션, 스타일 :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특정 색에 대한 선호도, 특정한 시기의 정신.
⑥ 개인적 관계 : 피라미드의 가장 윗부분으로 어떤 색에 대한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좋고 싫음에 대한 경험.
색경험 피라미드 ⑸ 심리적인 이해
① 색채심리학자 Wiesel에 따르면 색채심리치료에서는 개인의 의식과 무의식의 감정들을 인지적인 요소를 통해
통합하고, 내면의 복잡한 감정들을 색으로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본래적 자기 색(Self color)을 찾도록 돕는다.
② 특정한 색의 이면에 내재하고 있는 본래의 자기 색을 찾는 과정은 자신의 본성을 대면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받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인의 실존적 자기의식이 확장된다.
③ 색채심리치료에서는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색 이미지의 의미를 파악한다.
④ 색의 물리적 특성을 개인의 심리적 특성으로 해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⑤ 일상생활 속에서 보고 느끼는 색채는 하나로 존재하지 않고 복합적 반응을 일으킨다.
⑥ 색의 속성은 스스로의 모습에 의해서가 아닌 주변의 다른 색과 조화와 대비로 인해 또 다른 이미지를 창조한다.
⑹ 색채 치료의 방법
① 내담자로 하여금 의식적 색을 보게 하는 방법이다.
② 환경적으로 적용하여 반의식적으로 생활 공간에 살게 하는 방법이다.
③ 색채 고유의 파장 특성으로 물리적인 영향을 가하는 방법이다.
⑺ 색채 치료 효과
① 색채는 예술 치료의 한 영역으로 인간의 질병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② 색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감정 효과 중에서 흥분과 침정의 경우, 난색 계열의 고채도 색은 흥분감을 유도하고
한색 계열의 저채도 색은 침정되는 느낌을 주므로, 고혈압 환자에게는 한색 계열, 저혈압 환자에게는
난색 계열로 치료를 유도한다.
③ 자연의 색인 초록은 마음의 평화와 안정을 주어 피로회복에 크게 효과가 있어 현대인에게 유행하는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하는 측면에서 ‘그린 샤워’ 가 권장된다.
④ 마젠타는 우울증과 노이로제 같은 정신 불안 증세에 효과가 있으며, 월경불순 등과 같은 여러 증상에도
효과가 있다.
'> 심리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아가는 바퀴” 차크라 에너지 (0) 2022.01.20 자기 색깔과 색채 치료 연관성 (0) 2022.01.18 빛·물체·눈 색채 지각 현상 (0) 2022.01.16 동·서양 색채치료 역사 뉴턴·괴테의 이론 (0) 2022.01.14 RGB, CMYK 색상표 색채 표준의 시작 (0) 2022.01.12